해당 모델은 빅데이터 스마트팜의 핵심 기술인 농업 데이터 구축 방식을 담고 있다. 작물 재배에서 판매까지 전 과정의 빅데이터를 수집하고 어떻게 제어하는지가 핵심이다. 한국에서 개발한 스마트팜에 최적화돼 있다. 국제표준으로 인정된 만큼 국산 스마트팜 기술 및 장비의 해외 진출 가능성도 한층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재단은 여기에 그치지 않고 스마트팜 국제표준 선점을 가속화할 계획이다. 이번에 인가받은 모델 외에 ‘보급형 스마트팜 서비스 모델’과 ‘무인 스마트팜 서비스 모델’ 2건도 신규 국제표준 안건으로 상정했다. 박철웅 재단 이사장은 “기술 선점을 위해 표준화에 앞장설 것”이라고 말했다.세종=신준섭 기자
August 14, 2020 at 02:10AM
https://ift.tt/3gZwtTp
한국형 스마트팜 기술 국제표준 획득 - kmib.co.kr
https://ift.tt/3hkMHao
No comments:
Post a Comment